본문 바로가기

건강이야기

보험한약 소시호탕(小柴胡湯) 처방 이름 확인하고 비대면 택배 「소시호탕(小柴胡湯)이라는 한약 처방의 이름은 한자 그대로 풀이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소(小) : 작을 소. '작다' 또는 '적다'는 뜻입니다. - 시호(柴胡) : 한약재 이름으로, '시호'는 주된 약재입니다. - 탕(湯) : 끓인 물, 즉 '탕약'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소시호탕은 " 작은 시호탕" 또는 "적은 양의 시호가 들어간 탕약"이라는 뜻이 됩니다.여기서 '소(小)'는 같은 계열의 처방 중 '대시호탕(大柴胡湯)'과 비교하여 약효나 구성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순하거나, 사용 범위가 더 가볍다는 의미로 붙는 경우가 많습니다. 즉, '대(大)'가 붙은 처방이 더 강하거나 심한 증상에 쓰이고, '소(小)'가 붙은 처방은 그보다 경증이나 비교적 가벼운 증상에 주로 사용됩니다. ▷ " 한약 처방명 중에.. 더보기
오적산 건강보험 급여 적용 실손 실비 보험 적용 비대면 택배 오적산(五積散)은 한의학에서 매우 널리 쓰이는 한약 처방으로, 이름의 뜻과 효과, 그리고 관련 연구 논문에 대해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오적산 이름의 뜻- 오적산(五積散)의 '오적(五積)은 다섯 가지의 적체(덩어리, 쌓임)를 뜻합니다.- 이 다섯 적은 한적(寒積, 한기가 쌓임), 식적(食積, 음식이 쌓임), 기적(氣積, 기운이 막힘), 혈적(血積, 혈액 순환 장애), 담적(痰積, 점액·습담이 쌓임)을 의미합니다.- 즉, 오적산은 몸에 쌓인 다섯 가지 적체를 풀어주고 순환을 개선하는 한약입니다. 오적산의 효과- 오적산은 감기, 요통, 관절통, 신경통, 월경통, 소화불량, 냉증, 갱년기 장애 등 다양한 증상에 활용됩니다.- 특히, 한랭(寒冷)이나 습기(濕氣)로 인한 통증, 근육·관절통, 소화기 장.. 더보기
다이어트 한약 마황이 천식 등 호흡기 치료 한약이라고? 마황(마황, Ephedra)은 한의학에서 오랜 기간 사용되어 온 약재로, 주요 활성 성분은 에페드린(ephedrine)입니다. 마황의 줄기에는 에페드린과 슈도에페드린 등 알칼로이드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 성분들이 약리작용의 중심 역할을 합니다. 에페드린의 작용과 천식 치료 에페드린은 교감신경을 흥분시키는 약물로, 기관지 평활근을 이완시켜 기관지를 확장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로 인해 천식, 알레르기 질환, 감기, 코막힘 등 호흡기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습니다. 1920년대부터 에페드린은 알레르기 질환이나 천식 환자에게 주로 사용되었으며, 기관지 확장 효과를 통해 호흡 곤란을 완화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마황의 한의학적 활용 한의학에서는 마황을 기관지 천식, 감기, 독감, 오한, 열, 두통, .. 더보기
[마곡 한의원] 2010년부터 한의의료기관 진단명 상병명 양방과 동일합니다. 한의원, 한방병원에서의 KCD(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진단명 및 질병분류코드 사용 시기와 역사 한의원 및 한방병원에서 사용되는 KCD(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진단명과 질병분류코드의 도입 및 발전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KCD(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도입의 역사 초기 질병분류의 도입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질병분류가 도입된 것은 1938년, 일제강점기 시절 제4차 개정 국제사인표(ICD-4, 1929)를 채택하여 인구동태조사에 사용한 것이 시작입니다.해방 이후에는 미군정 하에서 제2차 개정 국제사인표(ICD-5, 1938)를 번역해 사용했고, 1952년에는 WHO 권고안을 반영하여 한국 실정에 맞는 질병분류가 처음 제정되었습니다. KCD의 공식 제정 및 개정 1973년 1월 1일,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 더보기
마곡 한의원 건강 상식 브라질너트의 장점 1. 셀레늄의 풍부한 공급원브라질너트는 세계에서 가장 셀레늄 함량이 높은 식품 중 하나로, 한 알에 약 75㎍의 셀레늄이 들어 있습니다. 셀레늄은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하여 세포 손상을 막고, 면역 체계를 강화하며, 노화 방지, 항암 효과, 심혈관 질환 예방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다양한 영양소 함유브라질너트에는 비타민 E, 마그네슘, 칼슘, 불포화 지방산, 식이섬유 등 다양한 영양소가 풍부하게 들어 있어 심혈관 건강, 피부건강, 장 건강에도 도움을 줍니다. 3. 면역력 및 신진대사 증진셀레늄은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제와 같은 항산화 효소의 주요 성분으로, 면역력 증진과 세포 재생, 갑상샘 기능 ㅇ유지, 호르몬 밸런스 조절에도 관여합니다. 4. 소량 섭취로 충분한 효과하루 1~2알 만으로도 충분한.. 더보기
마곡 침 잘 놓는 한의원 동씨칩법이란? 동씨침법(童氏鍼法, Dong's Acupuncture)은 중국 산동성의 동경창(童景昌) 선생 가문에서 수백 년간 대대로 전해 내려온 독특한 침구 치료법으로, 20세기 중반 동경창 선생이 처음으로 세상에 공개하고, 제자인 양유걸 박사가 이를 체계화하여 발전시킨 침술이다. 동씨침은 기존의 14 경락 이론과는 달리, 독자적으로 개발된 300여 개의 특수 혈자리(奇穴)를 활용하여 다양한 질환을 치료한다는 점이 특징이다.특징 및 원리 - 특수 혈자리 동씨침은 전통적인 경혈 외에 손, 팔, 다리, 귀, 두면부 등 인체 전반에 걸쳐 독자적으로 설정된 기혈을 사용한다. 각 혈자리는 특정 증상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손바닥의 목혈은 눈 질환, 피부 질환, 간 관련 질환 등에 효과가 있다. - 시술의 간편.. 더보기
[마곡 한의원 한의학 상식]침 득기감(得氣感)이란? 득기감(得氣感)은 침 치료 시 환자와 시술자가 모두 느낄 수 있는 특수한 감각을 의미합니다. 이는 침을 혈위(경혈)에 자입한 후, 수기법(손으로 침을 돌리거나 움직이는 조작)이나 장시간 유침(침을 꽂아둠) 과정에서 나타나는 독특한 반응입니다. 득기감의 대표적 감각 득기감은 단순히 침이 피부를 찌르는 따끔함과는 구별되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대표적인 감각으로 설명됩니다.- 시린 느낌(酸, 산)- 저린 느낌(麻, 마)- 묵직한 느낌(重, 중)- 부풀어 오르는 느낌(脹, 창) 이외에도 충만감, 쑤시는 느낌, 온감, 냉감, 둔탁함, 방산감(감각이 퍼져 나가는 느낌) 등이 보고됩니다. 득기감의 생리학적 기전 득기감은 감각 신경섬유(Aβ, Aδ, C 섬유 등)가 자극되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마비감, 팽창감.. 더보기
강서구 마곡 발산역 한약 잘 짓는 한의원 석곡 이규준 부양론(扶養論) 석곡(石谷) 이규준(李圭睃, 1855~1923)은 조선 말기 영남 지역을 대표하는 유학자이자 의학자로, 부양론(扶養論)을 창시한 인물이다. 부양론은 그의 대표적 의학 사상으로 한의학에서 양기(陽氣)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이론이다.부양론의 주요 내용 양기(陽氣) 중심의 의학 ▶ 이규준은 생명의 근원이 양기(陽氣)에 있다고 보고 모든 질병의 근본 원인을 양기의 부족에서 찾았다. 음(陰)은 상대적으로 남아돌기 쉽기 때문에 병의 치료는 무엇보다 양기를 북돋우는 데 초점을 두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 기존 동양의학에서는 음을 보충하고 화(火)를 내리는 '자음강화(滋陰降火)' 이론이 주류였으나 이규준은 이를 비판하고 양기를 돕는 치료법을 강조했다.심장 중심의 양기론 ▶ 전통적으로 양기의 주체는 신장(腎)으로 여겨졌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