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원, 한방병원에서의 KCD(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진단명 및 질병분류코드 사용 시기와 역사
한의원 및 한방병원에서 사용되는 KCD(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진단명과 질병분류코드의 도입 및 발전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KCD(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도입의 역사
초기 질병분류의 도입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질병분류가 도입된 것은 1938년, 일제강점기 시절 제4차 개정 국제사인표(ICD-4, 1929)를 채택하여 인구동태조사에 사용한 것이 시작입니다.
해방 이후에는 미군정 하에서 제2차 개정 국제사인표(ICD-5, 1938)를 번역해 사용했고, 1952년에는 WHO 권고안을 반영하여 한국 실정에 맞는 질병분류가 처음 제정되었습니다.
KCD의 공식 제정 및 개정
1973년 1월 1일,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현 통계청)에서 제8차 개정 국제질병분류(ICD-8, 1968)를 바탕으로 KCD(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가 공식적으로 제정되어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이후 KCD는 WHO의 국제질병분류(ICD) 개정에 맞춰 1979년(2차), 1995년(3차), 2003년(4차), 2008년(5차), 2011년(6차), 2016년(7차) 등 주기적으로 개정되었습니다.
한의계에서의 KCD 및 한의질병분류 도입
한의분류의 시작
1973년 KCD제정과 함께 한의분류도 도입되었으나, 초창기 한의분류는 독립된 체계로 작성된 것이 아니라 KCD 내에 한의진단을 반영하는 형태로 사용되었습니다.1979년 1차, 1994년 2차 개정이 이루어졌으며 이때부터 한의병명과 양방병명의 매칭(多對多)이 시도되었습니다.
한의분류의 개정과 KCD 연계
2009년 3차 개정부터는 별도의 한의분류코드가 없어지고, KCD코드와 연계하여 상병명을 사용하도록 변경되었습니다. 2010년부터 한의계에서도 KCD를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2011년 1월 1일부터는 KCD 제6차 개정판이 적용되어 한의원, 한방명원에서도 표준화된 질병코드를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한의학 고유 진단명(U코드)의 도입
한의학에서 고유하게 사용하는 진단명(한의병명, 힌의병증, 사상체질병증 등)은 KCD내 특수목적코드 (U코드, U20 ~ U33, U50 ~ U79, U95 ~ U98 등) 로 분류되어 있습닏.KCD 의 일반 진단코드(A00~Z99)에서 찾을 수 없는 한의학적 진단은 U코드를 통해 기록할 수 있습니다.
주요 연혁 요약
연도 | 주요 내용 |
1938 | 국제사인표(ICD-4) 채택, 인구동태조자 시작 |
1952 | WHO 권고안 반영, 한국 실정에 맞는 질병분류 제정 |
1973 | KCD 제정, 한의분류 도입 |
1979, 1994 | 한의분류 1차, 2차 개정 |
2009 | 한의분류 3차 개정, KCD 와 연계 강화 |
2010 | 한의계에서 KCD 사용 본격화 |
2011 | KCD 6차 개정판 시행, 한의원, 한방병원에서 공식 사용 |
결 론
한의원과 한방병원에서 진단명(KCD 질병분류코드, 상병명)이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시점은 1973년 KCD 제정과 함께이며, KCD를 본격적으로 표준화하여 사용한 것은 2010년 이후입니다.
한의학 고유 진단명은 KCD 내 U코드로 분류되어 한의의료의 특수성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현재 한의원, 한방병원에서는 KCD의 표준 진단코드와 한의학 특수코드(U코드)를 병행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발산역 1번 출구 앞
전화 : 0507-1430-1090
카톡 ID: lifemaru10
평일 매일 야간 진료: 10시~ 20시 30분
점심시간: 13시 30~ 14시 30분
토요일/공휴일 진료: 10시~14시 30분
'건강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적산 건강보험 급여 적용 실손 실비 보험 적용 비대면 택배 (0) | 2025.05.07 |
---|---|
다이어트 한약 마황이 천식 등 호흡기 치료 한약이라고? (0) | 2025.05.06 |
마곡 한의원 건강 상식 브라질너트의 장점 (0) | 2025.05.02 |
마곡 침 잘 놓는 한의원 동씨칩법이란? (4) | 2025.05.02 |
[마곡 한의원 한의학 상식]침 득기감(得氣感)이란? (0) | 2025.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