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험한약

발산역 진맥 잘하는 한의원 생명 마루 혀도 잘 봅니다(설진) 혀의 대표적인 몇 가지 패턴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홍반입니다. 알레르기를 뜻합니다. 빨간 점박이 같은 형상입니다. 알레르기 체질의 소아들에게 많이 나타납니다. 지도설은 혀가 부분 부분 움푹 파인 듯한 상태를 말하며  면역력 저하를 뜻합니다. 녹용보약 등 강한 보약이 필요한 상태입니다. 청자색의 혀의 경우 전통 한의학에서는 어혈의 징후로 보았습니다. 하지만 현대 한의학적으로는 산소포화도가 떨어져 있는 것으로 해석이 가능한데 그 이유는 수면불량, 수면 무호흡 등이 있습니다. 흉근의 문제로 호흡에 문제가 있을 경우 그러하고, 수면상태 콧속의 하비갑개 상태도 확인해봐야 합니다. 치흔, 이빨자국이라는 뜻입니다. 설변(혀의 가장자리)에 혀가 붓고 이빨자국으로 톱니바퀴처럼 쪼글쪼글한 것을 말합니다. 한의학적.. 더보기
어혈(瘀血)로 인한 만성 두통 발산 역 한의원 한약 치료 수많은 병원을 전전긍긍하면서 돌아다니다가 오신 환자분들께서 우연히 발산역 한의원에 내원하셨다가 환자 본인은 예상치 못한 치료결과가 나왔을 때 진료한의사와 환자 모두 해피한 엔딩을 맞이합니다. 그런 경험이 종종 있지만 만성 두통에 어혈을 제거해 주는 방향의 처방으로 두통이 사라졌다는 환자분의 치험례도 그런 소중한 경험 중 하나입니다.어혈로 인한 두통, 어혈로 인한 현훈(어지러움), 어혈로 인한 불면 등 두부(頭部)의 어혈을 제거하는 한약 처방에 좋은 반응을 보입니다. 진통제를 달고 살았던 분도 진통제 없이 지낼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입술, 설진 등에서 어혈의 패턴이 확인됩니다. 어혈을 제거하는 당귀, 단삼, 작약, 천궁, 홍화 등이 주요 구성 약물입니다. 그 외에 보기약도 들어가서 기의 흐름을 원활하.. 더보기
양천향교역 한의원 어혈 자가 진단 설문항목 중요도 설문항목 중요도 1. 발목이나 손목, 허리가 삐끗한 일로 증상이 있다 5.4* 27.가슴에서 열감을 느낀다. 3.5 2. 최근 넘어지거나 교통사고 등 심하게 부딪힌 일로증상이 있다. 6.3* 28.가슴이 답답할 때가 많다. 3.7 3. 최근 날카로운 물건에 심하게 밴 적이 있었다. 3.9 29. 숨이 잘 차는 편이다. 3.5 4. 최근 심하게 마음 상한 적이 있다. 3.7 30. 몸이 더웠다 추웠다 하는 편이다. 3.8 5. 최근 심하게 화를 낸 적이 있다. 3.5 31. 몸이 붓는 편이다. 3.7 6. 몸이 저리다. 4.2 32. 몸에 종기가 나곤 한다. 3.6 7. 일정 부위의 저림 증상이 오래도록 낫지 않는다. 5.8* 33. 피부가 건조하면서 거친 편이다. 4.1 8. 몸이 쑤시듯.. 더보기
가양역 한의원 생명마루에서 알려드리는 식이요법 식이요법(食餌療法) 식이요법은 치료에 버금가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자연치료는 인체의 항상성(恒常性 : homeostasis) 원리를 적극 활용하여 치료에 이용하는 것으로, 항상성은 놀이기구인 시소가 좌우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려 할 때 평형상태로 돌아가려고 하는 것 같은 "본능 적인 특성"으로 신체 내부에 체온이나 화학적 성분 등의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조절되고 있는 것을 말한다. 식이요법은 민간 치료의 일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오랜 경험을 통하여 비교적단순한 악성(樂性)을 발견하여 먹기도 하고 약으로 쓰기도 하는 것이 이기 때문이다. 다만 식이요법을 자의적(自意的)으로 행한다면 작은 독이 모여 원치 않는 결과를 낳을 수도 있으므로 전문가의 조언과 지시에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고혈압.. 더보기
마곡동 한의원에서 알려드리는 사상체질의학 사상체질의학 1. 정의 체질은 사람의 본래 가지고 태어난 신체적 특징, 정신적 특징 그리고 그 외에 여러 가지 다른 특징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체질은 병에 대한 저항력 또 병에 대한 반응을 포함한다. 그리고 체질이란 아무리 약을 쓴다고 해도 바꿀 수 없다. 다만 후천적인 노력으로 체질은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인간의 여러 특징은 유전되는 것이며 그중 체질도 자손에게까지 전달된다. 즉, 체질은 환경에 의해서 좌우되지 않는 고유의 기질을 의미한다. 사상제칠의학은 여러 체질론 가운데 가장 획기적이고 체계적인 이론으로 평가되며 거의 백 년 동안 수많은 임상실험을 통하여 정확성과 과학성이 입증되었다. 우리의 일상 체험에서도 체질에 따른 음식의 기호가 다르고 치유과정에 차이가 있음은 누구나 수긍하는 바이다. 그런.. 더보기
허준(1546~1613) 선생님 일대기 자(字)는 청원(淸源)이고 아호(雅號)는 구암(龜岩)이다. 본관(本貫)은 양천(陽川)이며, 고려 태조 때에 공암촌주(孔巖村主)가 된 양천허씨(陽川許氏)의 시조(始祖) 허선문(許宣文)의 20세손으로 김포군 양촌(陽忖)에서 1546년 3월 5일 허론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증조부인 허지(許芝)는 영월군수를 지냈고, 조부 허곤(許琨)은 무과에 급제하여 경상우수사(慶尙右水使)를 지냈으며 아버지인 허론도 무관으로 용천부사(龍川府使)를 역임하였다. 1574년 29세 되던 해에 의과(醫科)에 급제하였으며, 그 이듬해 내의원의 의관(醫官)이 되었다. 47세 되던 해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선조(宣祖)를 의주가지 호위하였으며, 55세 되던 해에 1600년에는 내의원 수의(首醫 : 의관의 우두머리)가 되었다. 1610년 「.. 더보기
당뇨병성 신경병증, 이제 전침 치료로 해결! 아직도 소식 못 들으셨어요?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전기침 효과! 작년 말부터 수많은 언론을 떠들썩하게 한 연구가 있었으니~! 만성 당뇨병성 신경병증에 전기침 치료가 효과 있다는 소식이었습니다. 국내는 물론 외국에서도 대서특필 될 정도로 인기가 많은 뉴스였는데요.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은 오랜 시간 지속된 고혈당으로 인해 사지 말단 부위의 신경 세포가 손상되고, 이로 인해 손과 발이 저리고, 화끈거리고, 찌르는 듯한 감각이상과 통증을 특징으로 합니다.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는 총 126명의 당뇨병성 신경병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전침 치료를 시행하여 치료를 받지 않은 군과 통증 개선 정도를 비교해 보았는데요. 전침 치료를 1주일에 2회, 총 8주간 받은 환자들의 통증이 대조군에 비해 약 2배 이상 감소 하였고, 이러.. 더보기
당뇨병성 신경병증, 이제 전침 치료로 해결! 아직도 소식 못 들으셨나요?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전기침 치료 효과! 작년 말부터 수많은 언론을 떠들썩하게 한 연구가 있었으니~! 만성 당뇨병성 신경병증에 전기침 치료가 효과 있다는 소식이었습니다. 국내는 물론 외국에서도 대서특필 될 정도로 인기가 많은 뉴스였는데요.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은 오랜 기간 지속된 고혈당으로 인해 사지 말단 부위의 신경세포가 손상되고, 이로 인해 손과 발이 저리고, 화끈거리고, 지르는 듯한 감각이상과 통증을 특징으로 합니다.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는 총 126명의 당요병성 신경병증 환자들릉 대상으로 전팀 치료를 시행하여 치료를 받지 않은 군과 통증 개선 정도를 비교해 보았는데요. 전침 치료를 1주일에 2회, 총 8주간 받은 환자들의 통증이 대조군에 비해 약 2배 이상 감소 하였고,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