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이야기

소아야제(小兒夜啼)및 구토

 

소아야제(小兒夜啼) 1

 

 

아이가 밤낮이 바뀌어 밤에 잠을 자지 않는다든지 밤에 자다가 계속 우는 경우

 

◎원인

            ▶ 소화기가 약하고 찰때 : 위나 장이 약하여 젖이나 음식에 체한 경우로 손발이 차고

                    이마에는 미열이 있으며 대변에서 신 냄새가 나고 식욕이 없는 경우

            ▶ 심장에 열이 있을 때 : 낮에는 가만히 지 않고 뛰어놀다가, 밤에 잠을 자다가 깨서

                    심하게 우는 경우로 울음소리가 높고 예리.

            ▶ 입 속에 염증이 있을 때 : 가장 쉽게 알 수 있는 경우로 입 속에  구내염이나

                    아구창이 있는 경우

            ▶ 놀랐을 때 : 아이가 낮에 낯선 사람이나 이상한 물건에 놀란 경우로 잠을 자다가

                               깜짝 놀라면서 큰 소리로 울어 젖힌다.  

                             - 양 눈을 부릅뜨기도 하며 눈썹 사이의 미간이 푸른색을 띠기도 한다.

           

 

소아야제(小兒夜啼) 2 - 치료법

 

야제증의 경우는 보약보다는 원인에 따른 치료가 중요하다할 수 있다.

 

◎ 원인에 따른 치료법

 

   ▶ 소화기가 약하고 찰 때  : 소화기를 보(補)하는 치료법

   ▶ 심장에 열이 있을 때     :  심장의 열을 내리는 치료법

   ▶ 입 안에 염증이 있을 때 : 묽은 죽염물로 자주 씻어주는 것이 좋다.

   ▶놀랐을때                    :  심장을 안정시키는 치료법

 

 

 

구토 - 원인에 따른 특징과 증상 1

 

 

소아 특히 영유아에서 많이 보임.

● 생후 수 개월의 경우 분문 발달이 미숙하여 젖을 먹고 힘을 줄 때마다

    조금씩 넘쳐 나온다. 조금 지나면 아무런 일이 없었던 것처럼 다시 젖을

    먹으려 한다.

우유가 너무 진했을 때에도 흡수하지 못하고 토한다.

우유를 빠는 동안 공기를 삼켜서 위에 우유과 공기가 차면 더부룩하고

    공기를 배출하지 못하면 토한다. 적당히 먹인 후 트림을 시켜 공기를

    배출한다.

상한 음식을 먹을 때 위장에서 거부하기 때문에 토하며 구토가 멈춘 후에는

    설사를 하게 된다.

차멀미로 평형기관이 적응하지 못해 토하게 된다.

 

 

 

구토 - 원인에 따른 특징과 증상 2

 

● 감기로 기침이 심할 때 대개 구토를 겸한다.

● 편도선, 중이염, 맹장염, 간염, 신우염 등이 있을 때에도 구토가 일어난다.

● 위장에 염증이 있을 때 메쓱메쓱 하면서 토한다.

● 식도가 막혔을 때 첫 번 먹인 것부터 금방금방 토한다.

● 십이지장 이하의 폐색의 경우 토물에 담즙이 섞여있다.

● 유문협착 : 생후 2~3주 경부터 토하기 시작하는데 시일이 갈수록 더욱 심해진다.

                   나중에는 영양실조를 초래한다.

● 뇌막염, 뇌염, 뇌출혈, 뇌막출혈, 뇌종양이 있을 때 뇌압이 높아져 구토중추를 자극해

     분수처럼 토하고 두통(頭痛)을 호소한다.

 

 

 

 

 

 

'건강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련해독탕 건강보험 급여 적용으로 부담없이  (0) 2022.05.13
보험한약 보중익기탕 정리  (0) 2022.04.28
통 풍  (0) 2022.03.04
갱년기의 운동과 음식  (0) 2022.03.02
체질의학  (0) 2022.03.01